국가안보와 방위산업/우주와 북핵미사일

우주 발사체와 탄도미사일 비교

xdots 2023. 10. 23. 23:47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발사를 위한 우주 발사체는 탄도미사일과 자주 비교된다. 우주 발사체는 탄도미사일과 비슷한 원리와 발사체의 구조로 제작과 발사 기술이 유사하며 이러한 기술은 국가 안보와 군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전략 자산이 된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은 이미 발사체 기술을 확보하고 발전시키고 있으며 발사체의 기술 이전을 제한하고 있다. 선진 10개국이 우주 발사체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1톤 이상의 위성 발사가 가능한 국가는 6개국(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중국, 인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 러시아 등 7개국MIRV(Multiple Independently Targetable Vehicle) 형태의 다탄두 발사 능력도 가지고 있다.

  • 선진 10개국과 발사연도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57), 미국(‘58), 유럽(‘65), 중국(’70), 일본(‘70), 영국(‘71), 인도(‘80), 이스라엘(‘88), 이란(‘09), 북한(‘12)
  • 다탄두 발사 능력 :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파키스탄, 인도
구분우주 발사체탄도미사일
목표추력과 비추력의 극대화하여 페이로드를 목표지점에 안착빠르게 발사하는 능력 적의 요격에 살아남아 표적을 타격
발사 운용수일 또는 수주 발사 준비
발사전 부품 및 상태 체크
은밀히 가능한 빨리 발사
생존성이 높음
발사 기상구름 (운량)
강수 (시간당 2.5mm 미만)
풍속 (지상 평균 14m/s 이하)
기온 (-10℃ ~ 35℃)
습도 (25도 기준 98% 이하)
압력 (94.7~104kPA)
지상풍, 고층풍,
낙뢰 (뇌우 내부 혹은 뇌우에서 낙뢰가 발생한 후 30분을 대기)
필요 시 악천후에서도 발사
※ 북한의 경우도 1984년~2022년 7월까지 193발 미사일 발사 중에 영하 10도 이하에서 발사한 경우가 5건(3%) 있었음
발사방향수직으로 상승하고, 요구되는 선회 방향의 속도를 얻기 위해 궤적의 마지막 단계(2단 또는 3단)에서는 통상 낮은 추력의 엔진 사용수직 발사되고 사거리 연장을 위해 일반적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비행
비행궤적수직으로 비행하고 일정 궤도이후 잔여물이 낙하함포물선을 이루며, 최근 초음속탄도미사일은 운동능력이 있어 비행궤적이 일정하지 않음
연료극저온 연료 사용
액체 연료 사용
고체연료 사용
장기간 저장가능한 액체 연료 사용
탑재물인공위성 등WMD(핵, 화학, 생물학 등)
탄두
최저속도시속 29,000 km시속 8,000 km
재진입 기술대기권 재진입 기술이 필요 없음대기권 재진입을 위한 탄두 보호 (열차폐막 등) 필요
재진입 제어 기술 필요

강동수, 북한 우주개발 기술현황 조사, 2022.

북한의 발사체(탄도미사일) 개발 현황

북한의 발사체(탄도미사일) 개발 현황

북한은 광명성 인공위성의 발사체로 은하 로켓을 개발하였다. 2006년 은하 1호는 무수단에서 개발된 대포동 미사일을 모체로 개발되었으며, 2009년에 은하 2호가 발사되었으나 인공위성의 궤도 진

dase.tistory.com

'국가안보와 방위산업 > 우주와 북핵미사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찰위성 발사  (0) 2023.11.25
우주발사체 발사 기지  (0) 2023.09.25
위성발사 비용  (0) 2023.09.25
우주 발사체  (0) 2023.09.25
북한의 발사체(탄도미사일) 개발 현황  (0) 202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