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유지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 이후의 유지관리와 운영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유지관리는 인수 이후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능의 추가, 보완, 결함 처리 등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지원하는 관리 업무를 의미하고, 소프트웨어 운영업무는 개발 완료 후, 인도된 소프트웨어에 대해 기능변경을 제외한 운영 기획 및 관리, 모니터링, 테스트, 사용자 지원을 포함한 정상적인 운영에 필요한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미 국방부는 유지관리 유형을 [그림 1]과 같이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오류수정(Corrective Sustainment), 적응정비(Adaptive Sustainment), 완전정비(Perfective Sustainment), 예방정비(Preventive Sustainment)로 분류하고 있다. 국제표준인 ISO/IEC 14764에서는 정비(Maintenance)로 사용하고 있지만, 국제 표준과 미군의 정의를 비교해 보고, 여러 미 국방부 보고서를 살펴보면 유사 용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미군 보고서에서는 소프트웨어 정비관리(Maintenance) 및 소프트웨어 유지관리(Sustainment)를 같은 활동으로 본다.
미 국방부 소프트웨어 유지관리와 국제표준 ISO/IEC 14764 정의를 비교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 국제표준인 ISO/IEC 14764에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오류수정(Corrective Maintenance), 적응정비(Adaptive Maintenance), 완전정비(Perfective Maintenance), 예방정비(Preventive Maintenance)로 분류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유지관리 국제 표준에서는 수정활동인 오류수정(Corrective Maintenance)은 유지관리 대상 소프트웨어의 오류수정 활동으로 예방정비(Preventive Maintenance)는 유지관리 대상 소프트웨어의 오류 사전 감지 활동으로 정의되어 있다. 향상 활동인 완전정비(Perfective Maintenance)는 유지관리 대상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유지관리 대상 소프트웨어에 대한 신규 기능 추가, 기능변경, 기능 삭제 등이 상세 업무 활동으로 적응정비(Adaptive Maintenance) 유지관리 대상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활동으로 데이터 전환, 시스템 성능 개선에 따른 프로그램 변경, 패키지 버전 상승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부분 개선 등이 해당된다고 정의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육·해·공군의 소프트웨어 유지관리는 국방부 소프트웨어 센터 또는 계약자에 의해 소프트웨어 유지활동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 육군은 통신 및 전자 지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센터(Army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 Command’s Software Engineering Center)가 육군 통신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유지관리하고, 미 육군 항공 및 미사일 연구개발 및 엔지니어링센터(Army Aviation and Missile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Center)는 미사일, 우주 및 항공용 소프트웨어를 유지관리 한다.
구분 | Corrective Sustainment |
Perfective Sustainment |
Adaptive Sustainment |
Preventive Sustainment |
미 국방부 정의 |
Diagnose and correct software errors after the software released. | Upgrades to software to support new capabilities and functionality | Modify software to interface with changing environments | Modify software to improve future maintainability or reliability. |
ISO/IEC 14764 정의 | the reactive modification of a software product performed after delivery to correct discovered problems | the modification of a software product after delivery to improve performance or maintainability | the modification of a software product, performed after delivery, to keep a software product usable in a changed or changing environment | the modification of a software product after delivery to detect and correct latent faults in the software product before they become effective faults |
2023년 방위사업청에서 발주된 "무기체계 내장형소프트웨어 지속적 성능개선 방안 연구" 가 진행될 예정이다.
'무기체계와 컴퓨터 > 컴퓨터와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OTA (0) | 2023.09.27 |
---|---|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소프트웨어 문제 (1) | 2023.09.27 |
세계 컴퓨팅 이슈로 바라본 변화 (1) | 2023.09.23 |
공간 컴퓨팅 Spatial Computing (0) | 2023.06.21 |
MS Copilot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