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와 방위산업/우주와 북핵미사일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체 인공위성 현황

xdots 2022. 12. 24. 12:44

2023.11.21. 북한 정찰위성 발사

  • 천리마-1형(발사체), 발사후 705s 만인 22시 54분 13초에 궤도 진입, 만리경-1호(위성) / 보도자료. 일반적으로 북한은 이 정보를 담아 기념우표를 낸다. 과거에 우표를 모으는 취미가 많았었는데 요즘은 없는 듯한데…예전에는 북미 정상회담 우표가 가장 높은 가격이었다.
  • Malligyong-1 #3, Chollima-1
  • NORAD ID: 58400
  • Observation: 468.738 MHz, FM 신호를 수신해서 재발리 올리는 전세계 사람들이 있다.ㅋ
  • Int'l Code: 2023-179A
  • Perigee: 499.6 km
  • Apogee: 519.3 km
  • Inclination: 97.4 °
  • Period: 94.7 minutes
  • Semi major axis: 6880 km
  • RCS: Unknown
  • Launch date: November 21, 2023
  • Source: North Korea (NKOR)
  • Launch site: Yunsong, DPRK (YUN)


————

2022년 이전


북한이 다음 위성을 발사한다면 동창리에서 남쪽으로 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동해위성발사장(무수단리)과 서해위성발사장(동창리)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광명성 1호, 광명성 2호, 광명성 3호, 광명성 3-2호, 광명성 4호를 개발하였고, 탄도미사일에 기반한 은하 3호 발사체를 가지고 있다. 광명성 4호는 궤도 경사각은 약 97.25도로 태양동기 궤도를 돌고 있으며, 발사 이후 고도는 계속 낮아져 2022년 현재 평균 고도는 455km 정도의 위치에 있다. 북한이 발사한 위성을 종합해 보면 궤도 100km, 직경 10cm이상의 지구궤도를 회전하는 모든 인공물들에게 부여되는 위성 목록 번호인 NORAD(North American Aerospace Defense) ID는 광명성 3호(은하 3호 발사체)부터 부여되었다. 인공위성은 동해위성발사장(무수단)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것은 모두 실패하였고, 서해위성발사장(동창리)에서 남쪽으로 발사한 경우만 인공위성이 정상적으로 궤도에 진입하였다.” (출처: 강동수, 북한 우주개발 기술 현황 조사, 2022)

북한 인공위성 발사 현황 (23.1.2.현)
출처: UN report

 

독자 기술 인공위성 발사

소련 1957.10.
미국 1958.2.
프랑스 1965
일본 1965
중국 1970
영국 1971
인도 1980
북한 2012

 

북한에 군사정찰위성이 왜 필요한지 모를 일[주성하 기자의 서울과 평양사이]

김여정이 북한의 첫 군사정찰위성 시험용 사진 공개에 대한 남쪽의 보도에 발끈해 노동당 부부장 명의로 20일 담화를 발표했다. ‘주둥이에서 풍기는 구린내’를 운운한 담화문의 수준이…

www.donga.com

 북한의 위성 발사

 

북한의 위성 발사

북한은 동해위성발사장(무수단리)과 서해위성발사장(동창리)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광명성 1호, 광명성 2호, 광명성 3호, 광명성 3-2호, 광명성 4호를 개발하였고, 탄도미사일에 기반한

dase.tistory.com

한국 정찰위성 발사

 

정찰위성 발사

425 Project Flight 1 당연히 성공하겠지만, 북한 보다 1주일 뒤에 발사하는 한국의 정찰위성발사시간: 2023.11.30. 03:04~4:18AM (GMT+9)발사장소: SLC-4E, Vandenberg SFB, California, USA발사체: Falcon 9 Block5($67million)Spac

dase.tistory.com

 

'국가안보와 방위산업 > 우주와 북핵미사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찰위성  (0) 2022.12.25
BMD 미사일 방어와 SM-3 미사일  (0) 2022.12.25
북한 핵 HEMP 공격  (0) 2022.12.18
북한 지대공 미사일 SA5 Gammon_20221109  (0) 2022.11.09
북한 7차 핵실험  (0) 2022.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