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은 인터넷에 접속은 가능 하지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북한의 대학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2018년에는 평양에 국제 인터넷 통신국이 설립되었다는 보도가 있어 북한의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를 통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 북한은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문제를 푸는 인도의 Codechef 프로그램 경진대회에서 북한의 김책공대와 김일성 대학은 항상 3등 이내의 상위권에 랭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의 주요 대학에서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Oracle Dyn에 따르면 북한의 인터넷 트래픽은 러시아의 TransTeleCom에서 60% 중국의 Unicom of China가 40%를 처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북한의 인터넷 IP는 2,000여 개가 되지 않는다.
◦ 북한의 광명성은 2000년에 오픈한 국가 인트라넷 네트워크 서비스로 북한 내에서만 접속 할 수 있는 내부망으로, 이 네트워크에는 이메일, SNS, 국내 뉴스, 과학 검색과 도서관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와 웹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 북한의 인터넷 웹사이트는 대한민국에서는 접속이 차단되어 있으나 웹사이트를 저장하고 있는 웹아카이브 등에서 오랜 기간 동안 북한의 인터넷 웹사이트들을 저장하고 있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는 어려움 없다.
◦ 북한의 컴퓨터 통신망은 모뎀을 사용하는 전화망으로 추정되며 전국을 검퓨터 전국망, 컴퓨터 부문망, 컴퓨터 국부망으로 구분하고 있다.
◦ 북한의 무선통신 사업자는 이집트의 Orascom Telecom Media and Technology Holding (OTMT)와 합작회사인 고려링크가 주 사업자였다. 그리고 2017년의 한 조사에서 가구의 69%가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고, 19%의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북한의 평양의 지역번호는 서울과 같은 02번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정부의 허가 없이 북한에 전화를 걸 수는 없다.
'사이버 보안 > 사이버전과 북한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과학기술 동향 (0) | 2023.10.25 |
---|---|
북한의 논문 발표 활동 (0) | 2023.10.25 |
북한으로부터 GPS 전파교란 발생 현황 (0) | 2023.10.25 |
북한의 위성 발사 (0) | 2023.10.23 |
Zero Trust 제로트러스트 (0) | 2023.10.21 |